목록데이터 분석/Coding Test (106)
Data Analyst KI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8cLX8/btsywunmnY5/stAxcg8JkcX71ybyBkdwR1/img.png)
SELECT ai.NAME , ai.DATETIME FROM ANIMAL_INS AS ai LEFT JOIN ANIMAL_OUTS AS ao ON ai.ANIMAL_ID = ao.ANIMAL_ID WHERE ao.ANIMAL_ID IS NULL ORDER BY ai.DATETIME LIMIT 3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vLkBk/btsrTQWP8I8/irvrJcJCEMDAxxTV1trGkK/img.png)
: 신고결과받기(정답률 36%) 처음에는 문제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했다. def solution(id_list, report, k): answer = [0]*len(id_list) count= [0]*len(id_list) lst = [] kkk = [] for i in range(len(report)) : a = report[i].split(' ') if a not in lst : # 동일한 유저ID와 유저가 신고한 ID가 동일하면 삭제 lst.append(a) for i in range(len(lst)): # 신고당한 횟수를 계산 for v in range(len(id_list)) : if lst[i][1] == id_list[v] : count[v] += 1 else : p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yryfO/btsrv5tMQnt/CWbkGfIPQeG7kdJfqk4A0K/img.png)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1. id_list에게 메일을 보내는 횟수를 나타낼 리스트를 만들자 => answer 2. 신고 횟수를 누적하는 방을 딕셔너리를 만들자 => report_all 3. report에 중복되는 값을 제거하자 => set(report) 4. 중복되지 않는 report를 split하고 1번 인데스의 값을 신고 횟수 누적하는 딕셔너리에 누적하자. 5. 딕셔너리에 누적된 값이 k보다 크거나 같으면 6. report를 split한 0번째 인덱스의 값이 id_list에 해당하는 리스트의 인덱스에 메일을 보내는 횟수의 리스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Nslk/btsrtgOWyy6/TUGtKjzJAp48xWjvbKuURK/img.png)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현재 눌린 곳의 좌표를 표시하는 것이 좋아보였다. 그래서 dic이라는 키패드의 좌표를 만들었다. 거리가 같을 경우에는 hand와 동일 거리가 다를 경우에는 가까운 손으로 눌리도록 코딩 난이도가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지만 시간은 조금 걸린 문제였다!!! def solution(numbers, hand): answer = '' dic = {1: [0, 3], 2: [1, 3], 3: [2, 3], 4: [0, 2], 5: [1, 2], 6: [2, 2], 7: [0, 1], 8: [1, 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H4D0/btsrdjzyNMY/GLLkZHAuutdjnETcPp0bNk/img.png)
오늘의 활동 내용 : 문제 풀이 및 동아리 목표 재설정 동아리의 최종 목표는 코딩역량 시험(PCCP,PCCE)를 응시하는 것. 그 과정에서 프로그래머스의 스킬체크를 통해서 코딩실력을 확인하여 특정 수준까지 도달할 것 3명의 코드의 흐름이 동일했다. 크게 고려해야할 사항이 없었던 문제였다. def solution(a, b, n): answer = 0 while (n >= a) : remain_cok = n % a n = (n//a)*b answer += n n += remain_cok return answer 두번째 문제는 '실패율' 이였다. 나는 풀지 못해서 아직 포스팅을 올리지 않고 풀고 난 후 팀원들의 코드와 함께 업로드 할 것이다!!